전음성 난청 | 외이 또는 중이에 이상이 생겨 소리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예로는 외이도염증, 귀지 막힘, 고막 손상 등이 있습니다. |
전음성 난청 | |
외이 또는 중이에 이상이 생겨 소리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예로는 외이도염증, 귀지 막힘, 고막 손상 등이 있습니다. | |
감각신경성 난청 | 내이 또는 청각신경에 이상이 생겨 소리가 감지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이 중 내이성 난청은 내이의 달팽이관에 이상이 있을 때, 신경성 난청은 청각신경 자체에 이상이 있을 때, 중추성 난청은 청각신경의 중추 경로에 이상이 있을 때 발생합니다. |
감각신경성 난청 | |
내이 또는 청각신경에 이상이 생겨 소리가 감지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이 중 내이성 난청은 내이의 달팽이관에 이상이 있을 때, 신경성 난청은 청각신경 자체에 이상이 있을 때, 중추성 난청은 청각신경의 중추 경로에 이상이 있을 때 발생합니다. | |
혼합성 난청 | 전음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입니다. |
혼합성 난청 | |
전음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입니다. |
치료방법
1. 청력 감퇴가 심하지 않는 경우 보청기를 사용합니다.
2. 중이이식은 중이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소리가 잘 전달되지 않는 경우 시행합니다.
3. 인공와우이식은 내이의 와우에 손상이 심하여 청각 지각이 불가능한 경우 시행합니다.
치료 시 고려사항
1. 난청의 원인과 종류, 정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2. 진단과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보청기 사용 시에는 청력 재활 훈련을 병행해야 합니다.
4. 청력 관련 증상이나 난청이 의심되면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